한방치료

(재)한국수성사회의학연구소 이시아한방병원

첩약

    첩약

    역사와 유서깊은 처방들을 음양오행, 팔강변증, 장상, 병인과 병기, 사상의학까지 세밀한관찰을 통한 원인을 찾는 진단으로 환자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원과 출처가 명확한 약재 위주로 한약재를 취급하고 있으며 안전한 GMP인증 한약재 및 탕전위생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약이란?

    조선시대 말까지는 별도로 한약이라는 말이 없었고, 약, 의학 등으로 불리웠으며, 일제 시대에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한약(漢藥), 즉 한(漢)나라의 약이라고 하였습니다. 한편, 서양에서 새로 들어온 약은 양약(洋藥)이나 신약(新藥), 서약(西藥)이라고 불리웠습니다.
    요즈음에도, 천연 자원인 광물류와 식물류인 약초와 동물의 일부분을 건조·가공하여 약으로 사용할 때, 이를 모두 한약이라 합니다.

한약의 종류

  • 환약

    환약(丸藥)은 한약의 정제(精製) 및 약재를 가루로 하여 꿀, 밀가루, 풀, 물, 술, 식초, 밀랍, 쌀풀(미음) 등으로 둥그런 형태를 만든 후에, 일정한 크기의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하기 편리하게 한 것이다.
    환약은 단단하고 쉽게 용해되지 않아 치료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며, 신체의 기능을 서서히 보강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신체의 마비된 부분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크다. 한편, 독성이 많아서 끓이거나 가루로 사용하기 어려운 약은 환약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물이나 떡처럼 쪄서 환약을 만든 것은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주로 신체 윗부분의 질병 치료에 쓰이고, 밀가루나 쌀로 만든 것은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신체 아랫부분의 질병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술이나 꿀·식초를 이용하여 환약을 만드는 것은 수렴·확산의 성질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신체 아랫부분의 질환 치료용 중에, 소화기 장애 치료용은 흔히 녹두알 크기로, 신체 윗부분 질환 치료용은 아주 작은 쌀알 크기로 만든다.
  • 고약

    고약은 피부에 부착하여 그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약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한약제의 한 형태이다.
    대개 피부나 점막의 염증, 궤양, 상처, 종기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정한 부위에 붙여서 외과 질환을 치료하는 데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부은 것을 삭히고 아픔을 멎게 하며,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출혈을 멈추는 등의 작용을 한다.
    대체로 한약재를 가루 내어 기름을 넣고 졸이거나 기름, 물, 가루풀, 술 등과 섞어서 만든다. 종류는 매우 많으나 주 원료에 따라 황랍고와 황단고로 나눌 수 있다. 황랍고는 꿀을 가열하여 녹이고 기름(돼지 기름, 참기름, 해바라기 기름 등), 송진, 기타 약가루를 넣고 잘 저어 고루 섞어서 만든다. 황단고는 참기름을 비롯한 식물성 기름에 황단을 넣어 만든 점착성이 센 검은 고약이다. 고약이 보관 중에 굳어진 경우에는 붙일 때에 데워서 녹여야 한다.
  • 우황청심원

    우황청심원은 뇌질환, 중풍성 질환, 심장성 질환, 신경성 질환에 쓰이는 약으로, 조선 초기까지는 궁궐에서만 사용되고, 중국에 선물로 주는 친교약으로까지 사용됐던 명약이다. 송나라 때 문헌에 처음 수록되어 있지만, 허준의 「동의보감」에 수록된 이래로 우리 고유의 처방으로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는 우황청심원에는 우황, 사향, 대두황권을 비롯하여 30여 가지 재료가 들어가지만, 중국산 등은 대개 종류가 적다. 약효도 우리나라 것이 강하고 치료 범위가 넓다.
    이 약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기(氣) 순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졸중풍(卒中風:뇌졸중), 의식 불명, 전신 경련과 마비, 심기(心氣) 부족, 정신 혼미, 뇌경색, 고혈압, 협심증, 신경과민증, 신경성 불안증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 대량 생산과 판매 경쟁에 따른 광고매체의 영향을 받아 우황청심원이 아무데나 남용되는 예가 많은데, 한의사와 상담을 거친 후에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한약의 복용법

  • 1. 한약을 오래 복용할 때의 주의사항

    • 한약은 질병의 상태를 잘 파악하고 온도, 습도, 바람 등 자연 변화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으로 오장과 육부의 기능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작용을 하므로 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약을 오래 복용하면 약했던 장부가 건강하게 회복됩니다.. 그러므로 회복할 때까지 한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전문 한의사의 진단없이 환자 마음대로 약재를 조제하여 복용하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므로 한약재는 겉으로 드러난 효과 뿐 아니라 약재가 서로 배합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효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한약을 복용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한의사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2. 임산부가 복용할 때의 주의사항

    • 임산부는 태아를 기르기 위해 많은 피가 필요하므로 그에 맞는 적절한 약이 요구됩니다.
      임산부의 치료는 자궁과 태반의 혈액과 기운을 보충하여 병적인 상태를 치료하므로, 하복부가 무겁거나 기분이 좋지 않은 것을 회복시켜 줄 수 있습니다.
      임산부가 감기에 걸린 경우도 자궁과 태아를 보호해주는 한약을 복용하면 태아가 더욱 건강해짐으로 따라서 임신 초부터 해산할 때까지 적절한 진찰을 받고 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3. 음식금기

    • 일반적으로 한약을 복용할 때에 음식물을 절제하는 이유는 약효가 떨어지는 것을 막거나,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또한 한약의 소화 흡수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서 병 치료가 지연되거나, 체질에 따라서 해로운 음식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한약의 약리작용과 반대가 되는 음식은 약효를 상쇄시키므로, 약물과 상극작용이 되지 않는 상생(相生)의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인삼과 같은 약을 복용할 때 아이스크림 같은 차가운 음식을 먹는다면 당연히 해로우며, 부자가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 맵고 뜨거운 음식은 매우 위험합니다.
      혈액을 보(補)하는 약이나 치료제를 복용할 때는 소화장애가 없는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여야 합니다.
      음식물에는 네 가지 성질이 있어서 차가운 기운[寒氣]을 가지고 있는 음식, 서늘한 기운[凉氣]을 가지고 있는 음식, 뜨거운 기운[熱氣]을 가지고 있는 음식, 따뜻한 기운[溫氣]을 가지고 있는 음식으로 나눈다. 온기와 열기의 음식은 양성(陽性)으로, 한기와 양기의 음식물은 음성(陰性)으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배는 음성이기 때문에 해열작용이 있으며, 강낭콩도 음성이기 때문에 덜 익혀 먹으면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마늘이나 쑥은 양성이기에 온열작용을 하며, 찹쌀도 멥쌀과 달리 양성이기에 몸을 덥게 하므로 많이 먹으면 부작용이 있습니다.
      서양의 영양학적 관점으로 보면, 찹쌀과 멥쌀은 크게 다를 것이 없으나 실제로는 그 음식물의 기와 맛에 따라 사람에게 다르게 작용합니다. 이것을 기미론(氣味論)이라고 하는데, 음식이나 약물이나 모두 적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운의 승강(昇降) 작용을 구별하여 기운이 가벼운 약물이나 음식물은 위로 올라 가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기운이 무거운 약물이나 음식물은 아래로 내려가 인체 하부에 작용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맛은 신맛[酸], 쓴맛[苦], 짠맛[鹹], 단맛[甘], 매운맛[辛]의 5가지로 나누어, 맛이 진하면 무거워 아래로 내려가 그 효과를 나타내며, 맛이 여리면 위로 올라가 그 효과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인체의 상체에 원인이 있어 질병이 생기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치료하려는 약물을 쓰게 되므로 음식도 이를 도와주는 것을 권하는 것으로 이때 만약 기운을 아래로 내리는 음식을 섭취하게 된다면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처럼 약물이나 음식물이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을 생각하면서 약물을 투여하기 때문에 한약을 복용할 때에는 금기 음식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
※ 개인에 따라 치료 후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사전에 의료진과 상담 후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